지원사업마당
지원사업안내
사업캘린더
안내책자다운로드
유관기관지원정보
상담·고객센터
상담실 소개
고객의 소리
GEPA소식
공지사항
채용공고
보도자료
행사사진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소통참여SNS
GEPA소개
인사말
비전 및 전략
연혁
CI
조직 및 업무
찾아오시는 길
시설이용 안내
ESG경영
ESG 경영
ESG전략체계
ESG경영선언
윤리경영
윤리헌장
클린신고센터
청렴게시판
인권경영
인권경영헌장
고객서비스경영
고객서비스헌장
안전보건경영
안전보건경영방침
정부3.0
정부3.0소개
정보공개제도 안내
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개방
경영공시
경영공시 안내
일반현황 및 기본공시
일반현황
임원 및 인력운영현황
재무현황
공시자료
경영공시
자율공시
경상북도경제진흥원
  • 지원사업마당
    • 지원사업안내
    • 사업캘린더
    • 안내책자다운로드
    • 유관기관지원정보
  • 상담·고객센터
    • 상담실 소개
    • 고객의 소리
  • GEPA소식
    • 공지사항
    • 채용공고
    • 보도자료
    • 행사사진
    •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 소통참여SNS
  • GEPA소개
    • 인사말
    • 비전 및 전략
    • 연혁
    • CI
    • 조직 및 업무
    • 찾아오시는 길
    • 시설이용 안내
  • ESG경영
    • ESG 경영
      • ESG전략체계
      • ESG경영선언
    • 윤리경영
      • 윤리헌장
      • 클린신고센터
      • 청렴게시판
    • 인권경영
      • 인권경영헌장
    • 고객서비스경영
      • 고객서비스헌장
    • 안전보건경영
      • 안전보건경영방침
    • 정부3.0
      • 정부3.0소개
      • 정보공개제도 안내
      • 정보공개청구
      • 공공데이터개방
  • 경영공시
    • 경영공시 안내
    • 일반현황 및 기본공시
      • 일반현황
      • 임원 및 인력운영현황
      • 재무현황
    • 공시자료
      • 경영공시
      • 자율공시
  • Menu Menu
  • GEPA소식
    • 지원사업마당
    • 상담·고객센터
    • GEPA소식
    • GEPA소개
    • ESG경영
    • 경영공시
  • 보도자료
    • 공지사항
    • 채용공고
    • 보도자료
    • 행사사진
    •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 소통참여SNS

보도자료

글보기
경상북도경제진흥원, 중소기업 소상공인 온라인 유통진출 지원, 큰 성과
작성자김일호
작성일2020-09-15
조회수546
보도자료(언택트마케팅_사례포함)소상공인팀.hwp (2.31MB)
​

포스트 코로나19 언택트 마케팅 시대
일상과 방역의 공존 위드 코로나 시대를 준비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은 소상공인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대면화와 디지털 대응 온라인 판로지원 등 언택트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은 지역 중소기업 우수제품의 온라인 판매플랫폼 연결 등 판로확대를 위하여 ‘경북세일페스타’등 온라인쇼핑몰 기획전을 운영하여 지난 7월말까지 635억원을 매출실적을 시현한 바 있으며,

또한 지방소멸을 극복하고자 매력적인 지역문화·관광자원을 연결하여 청년의 활발한 유입과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도시청년시골파견제’운영사업 참여청년들의 판로확대를 위하여 (주)백패커와 판로지원 확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핸드메이드 제품 온라인 미켓 플랫폼 1위인 ‘아이디어스(idus)입점을 지원하는 등 소상공인들에 대한 판매전략 다양화를 지원중이다.

더불어, 상시적 온라인수출상담회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소상공인의 온라인시장진출역량 강화 및 입점지원을 위한 소상공인 라이브 커머스 지원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은 온라인시장 진입을 추진하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지속적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상품성 및 마케팅 역량의 강점을 가진 지역 소상공인의 비지니스모델 소개를 통하여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키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계획으로,

안동도마를 시작으로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참여기업 등 언택트 마케팅 성공사례를 차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자연과 세월속에서 전통의 숨결을 살려낸다.
국내유일 느티나무 수제명품 안동도마 장인(匠人)

양반의 고장인 안동에서 30년간 국내유일의 수제 명품도마를 만들고
있는 지영흥 장인을 만난 와룡면 500년의 고택마당에는 세월을 새기고 있는 각양각색의 느티나무로 가득하다.

북쪽 강원도 끝에서 남쪽 해남까지 돌아다니며 어렵게 모았다는 느티나무 고사목은 죽어서도 저마다의 지내 온 세월과 사연을 담은 듯한 기품 있는 빛깔과 나이테를 담고 새로운 탄생을 기다리고 있다.

못도 잘 안 들어간다는 토종 느티나무는 단단하고 질기며, 물기가 쉽게 제거되어 빠르게 건조되는 최상의 재료다.


자연과 세월속에서 전통의 숨결을 살려내는 고집

”그저 나무만 바라 봐도 좋다“는 생각으로 도마와 인연을 맺은 후 3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다. 스스로 ”나무귀신이 붙었다“고 말할 만큼 나무를 사랑했고 그래서 나무와 함께 하는 시간이 힘들지 않다는 그는 어느 작업 과정 하나도 쉽게 남의 손에 맡기지 않는다.

그의 처음 사업장은 안동 하회마을내 판매체험장이었다. 원재료부터 오랜시간의 건조과정 등 무엇 하나 쉽지 않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제품은 입소문을 타고 대량주문이 들어오는 등 만드는 족족 팔려나갔다.

장인의 손길을 알아본 경상북도는 양산을 위한 시설투자 지원 등을 제안 해왔고 서울의 백화점 등 여러곳에서 대량공급 가능여부를 문의해 왔지만 그는 모두 거절했다.
쉽지 않은 원재료 수급과 나무의 숨결을 살리고자 하는 장인의 고집이었다. 장인이 만든 도마는 단순히 도마를 넘어 끈질긴 고민과 느긋한 기다림이 낳은 하나의 예술품이라 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고향을 살린 느티나무

그는 주변의 도움을 뒤로 하고 명품 수제도마에 집중하기 위해 조상이 물려주신 500년 고택의 와룡면으로 귀향했다.

그런데 명품의 힘은 고향에서 더욱 빛을 발했다. 연일 몰려드는 구매객들 때문에 시골골목은 조그만 장터가 생겨나 마을의 농산물까지 판매하기에 이르렀고 매진사태에 멀리서 온 손님들은 주변의 민박과 안동시내 숙박업소에서 휴식후 새벽부터 장인의 고택골목을 찾아 줄을 서 대기표를 배부했고 급기야 교통경찰이 출동해 주변 교통을 정리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100년 수령 느티나무 枯死木의 환생
죽었던 느티나무가 다시 살아나 아내의 정성어린 칼질을 감당하며 한가족의 삶을 만들어 가는 아름다운 과정

그는 100년 이상된 토종 느티나무가 자연에서 말라 죽은 고사목을 수집한다.
적어도 5년 이상 길게는 10년의 자연건조를 거친다. 자연속에서 혹독한 건조과정을 거쳐 살아남은 생명만이 무수한 칼질을 버텨낼 수 있는 것이다.

여러번 언론에 보도되고 전국에서 그의 도마를 구하러 오는 사람이 마당에서 집 앞 골목까지 줄을 이어도 그의 삶은 30년전 그대로이다.
도마 하나 때문에 먼곳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을 외면할 수 없다는 마음뿐이다.

최근 건강이 악화된 장인의 손길이 쉽게 휴식을 구할 수 없는 것은 그 아름다운 꿈이 계속 되기 때문일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19 비대면 마케팅의 시작

명품도마 홈페이지(www.jyhdoma.com)에는 다양한 정보들로 가득하다. 느티나무 도마 소개부터 제작과정, 온라인 구매를 위한 상품목록과 세부정보는 물론 그 동안의 언론소개 등 도마관련 글과 사진들로 채워져 있다.

아직 송금방식의 결제만 가능해 다소 불편한점이 있지만 한때 주문후 6개월을 기다려야 했던 장인의 명품도마는 지금도 1개월 이상을 기다려야 그 촉감을 느낄 수 있다.

장인은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이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지원사업 참여 청년사업가들에게 온라인 시장 진출을 지원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커머스 시대에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안내에 따라 온라인 핸드메이드마켓‘아이디어스’입점을 추진할 예정이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원장 전창록)은“코로나 19의 조속한 종식을 바라며 비대면(Untact) 마케팅의 중요성 대두에 따라 내년도 역점사업으로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역량 강화와 입점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마케팅 전략을 함께 고민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매일신문 http://news.imaeil.com/SocietyAll/2020090909290248873 

이전글도시청년시골파견제의 포스트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다음글 전창록 경상북도경제진흥원장, "온라인 판매 확대로 중소기업 경영난 해소"

  • 이메일집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관리방침

gepaweb경상북도 구미시 이계북로7(임수동92-30)Tel : 054)472-2986

gepaweb7,Igyebuk-ro, Gumi-si, Gyeongbuk-do, KoreaTel : 054)472-2986

Copyright© 경상북도경제진흥원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집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관리방침
Scroll to top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