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마당
지원사업안내
사업캘린더
안내책자다운로드
유관기관지원정보
상담·고객센터
상담실 소개
고객의 소리
GEPA소식
공지사항
채용공고
보도자료
행사사진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소통참여SNS
GEPA소개
인사말
비전 및 전략
연혁
CI
조직 및 업무
찾아오시는 길
시설이용 안내
ESG경영
ESG 경영
ESG전략체계
ESG경영선언
윤리경영
윤리헌장
클린신고센터
청렴게시판
인권경영
인권경영헌장
고객서비스경영
고객서비스헌장
안전보건경영
안전보건경영방침
정부3.0
정부3.0소개
정보공개제도 안내
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개방
경영공시
경영공시 안내
일반현황 및 기본공시
일반현황
임원 및 인력운영현황
재무현황
공시자료
경영공시
자율공시
경상북도경제진흥원
  • 지원사업마당
    • 지원사업안내
    • 사업캘린더
    • 안내책자다운로드
    • 유관기관지원정보
  • 상담·고객센터
    • 상담실 소개
    • 고객의 소리
  • GEPA소식
    • 공지사항
    • 채용공고
    • 보도자료
    • 행사사진
    •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 소통참여SNS
  • GEPA소개
    • 인사말
    • 비전 및 전략
    • 연혁
    • CI
    • 조직 및 업무
    • 찾아오시는 길
    • 시설이용 안내
  • ESG경영
    • ESG 경영
      • ESG전략체계
      • ESG경영선언
    • 윤리경영
      • 윤리헌장
      • 클린신고센터
      • 청렴게시판
    • 인권경영
      • 인권경영헌장
    • 고객서비스경영
      • 고객서비스헌장
    • 안전보건경영
      • 안전보건경영방침
    • 정부3.0
      • 정부3.0소개
      • 정보공개제도 안내
      • 정보공개청구
      • 공공데이터개방
  • 경영공시
    • 경영공시 안내
    • 일반현황 및 기본공시
      • 일반현황
      • 임원 및 인력운영현황
      • 재무현황
    • 공시자료
      • 경영공시
      • 자율공시
  • Menu Menu
  • GEPA소식
    • 지원사업마당
    • 상담·고객센터
    • GEPA소식
    • GEPA소개
    • ESG경영
    • 경영공시
  • 보도자료
    • 공지사항
    • 채용공고
    • 보도자료
    • 행사사진
    • 새바람행복뉴스 신청
    • 소통참여SNS

보도자료

글보기
'힙지로'와 로컬 크리에이터
작성자김주연
작성일2019-08-18
조회수553

몇 해 전까지만 해도 50~70대들이 주로 찾던 서울 을지로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힙지로'라는 애칭을 얻으며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유행에 밝다는 뜻의 영어 단어 '힙(hip)'과 을지로의 합성어이다. 을지로의 변화는 젊은이들이 힙스터 인증을 위해 경쟁적으로 자신들의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린 것이 계기가 됐다.

을지로가 힙지로로 변화하게 되면서 주목해야 할 특이한 점은 기존 노포가 밀려나거나 사라지지 않고 새롭게 유입된 가게들과 동반 성장하는 모습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연구팀이 진행한 조사에 의하면 을지로 일대에서 오랫동안 장사를 이어온 만선호프, 을지면옥, 동원집 등 노포에 대한 인스타그램 게시 건수는 20배 이상 크게 늘어났다. 을지로 지역 전체가 활력을 띠고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을지로 복고풍에 열광하는 젊은이들

그렇다면 밀레니얼 세대(1981~1995년 출생)들이 힙지로에 모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을지로만이 가진 '낡았다. 그래서 새롭다'라는 뉴트로(새로움+복고) 문화를 얘기하는 사람이 많다. 힙지로에는 '커피한약방'이라는 독특한 가게가 있다. 힙지로 초기부터 있었고, 실제 힙지로 열풍을 가져온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명실상부 힙지로의 명소로 통한다. 이 가게는 1960년대와 1970년대 화려했던 을지로의 멋과 그 시절의 부귀영화를 복원했다. 30년 경력의 연극·뮤지컬 배우가 모던보이와 모던걸이 튀어나올 것만 같은 이 골목에, 중국 상하이와 유럽을 돌며 모은 괘종시계와 찬장 등 근현대 소품을 갖춰 오픈했다고 한다. 지역 시장에서 지역 자원, 문화, 커뮤니티를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내는 창의적 소상공인들을 로컬 크리에이터라고 하는데, 커피한약방 주인이 바로 로컬 크리에이터의 대표적 사례다. 이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바로 힙지로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지방은 '지방 소멸'이라는 단어가 큰 화두이다. 지방 소멸의 대안은 청년의 유입과 정착이다. 청년들이 좋아할 만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광주·군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상생형 일자리를 경쟁적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생존을 위한 일자리 문제의 해결이라는 필요조건만이 밀레니얼 세대 청년들의 삶을 매만져 주는 정책이라고는 볼 수 없다.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충분조건이 충족되어야 젊은이들이 지역에 머물게 되고 정착하게 된다. 그렇다면 누가 그 일을 할 것인가?

지난 5월 마늘로 유명한 경상북도 의성에 때 묻지 않은 시골을 배경으로 예술성을 강조하는 웨딩 사진 전문 사진관 '노비스르프'가 생겼다. "당신만의 이야기를 전해주세요. 저희만의 예술 작품으로 돌려드리겠습니다"를 모토로 운영 중인 이 사진관은 의성에 새로운 문화를 더하고 있다. 문경에는 저녁마다 마을 사람들이 바이올린 공연을 위해 연습하는 연습실이 생겼다. "쓴 커피에 달콤한 설탕 한 스푼을 더하면 맛이 달라지듯 우리네 삶에 클래식을 한 스푼 더하면 우리 삶이 달라질 수 있다"고 믿는 젊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이 '클래식 한 스푼'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독일 국립 오케스트라에서 바이올린 단원으로 활동했던 경력을 살려 예술 사각지대였던 문경의 시골 마을에 클래식을 전파하고 있다. 울릉도에는 '도시 청년들의 울릉도 2주 살아 보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35세 서울 청년과 31세의 일산 청년이 있다.

이들 모두는 경상북도와 경상북도 23개 시·군에서 진행하는 도시청년 시골 파견제 사업의 창업팀들이다. 아직은 지역사회에 청년 창업이 활성화되지 않아 각 지역에서 이들의 역할이 섬처럼 조심스럽다. 하지만 이들이 각자 하나의 성공을 넘어 로컬 크리에이터로서 지역의 상생과 부활을 엮는 마중물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URL : http://weekly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5/2019090501905.html 

이전글경상북도경제진흥원 북부지역 지원확대를 위해 지소역량 강화 추진
다음글경북경제진흥원 동부지소, ‘동해안 지역 행복디딤돌 전진기지화 ↑’

  • 이메일집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관리방침

gepaweb경상북도 구미시 이계북로7(임수동92-30)Tel : 054)472-2986

gepaweb7,Igyebuk-ro, Gumi-si, Gyeongbuk-do, KoreaTel : 054)472-2986

Copyright© 경상북도경제진흥원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집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관리방침
Scroll to top Scroll to top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