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경상북도를 선택하고 이주한 청년들이 코로나 19 위기를 기회로 만들며 지역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16일 경상북도경제진흥원(원장 전창록)에 따르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지원사업 참여자가 자구책을 마련하여 위기를 기회로 바꿨던 사례가 다른 이들에 귀감이 되고 있다. 이는 지난 2월 발생한 코로나 19로 인해 대부분의 소상공인이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로컬가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타개책을 모색해왔던 청년들의 고민이 담겨있다.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자두잼·자두청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솔찬히맛난자두’ 김지숙 대표는 상반기 농장형 카페 오픈을 목표로 레시피와 시제품 개발을 마쳤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김 대표가 꿈꿔왔던 목표는 이뤄지기 힘들어졌다. “오랜시간 준비해왔던 사업을 포기해야 되는 심정은 참담했다.”고 김 대표는 회상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포기하지 않고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고민과 시도를 끊임없이 해왔고, 해결점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김 대표는 카페가 아닌 ‘프라이빗한 팜스테이’ 형태로 방향을 전환하여 소규모 에어비엔비에 농장다움을 더했다. 또한 예정되어 있던 해외수출량 감소에 대한 대안으로 국내 B2B(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장에 집중했다. 결과적으로 납품했던 자두잼이 완판되었다는 소식을 시작으로 팜스테이 문의도 빗발쳤다. 김 대표는 “아직 오픈전이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사람들과의 접촉을 꺼리는 가족 단위 관광객들의 예약이 많다”며 “지역 상권에도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 참여자는 김 대표만이 아니었다. 영양군 ‘단듸’ 허진희 대표는 올해 3월 영양군의 한적한 시골마을에 스튜디오를 열었다. 영양군에 오는 모든 사람의 사진을 촬영할 기세로 스튜디오를 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곧 방향을 바꿔야만 했다. 이에 허 대표는 관광객을 불러모으는 것 보다는 지역농가에 힘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지역 농가 상품에 젊은 감성을 더한 ‘농가스냅’으로 온라인 유통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온라인 유통이 익숙지 않은 지역의 어르신들을 위해 사이소(경상북도 농특산물 쇼핑몰)에 상세페이지를 만들어 운영까지 직접 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국 대부분의 축제가 취소된 만큼 영양도 온라인으로 축제가 진행됐다. ‘단듸’는 사진, 글, 디자인 등 다방면으로 축제를 도왔고, 산나물 축제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지역민들에게도 인정받기 시작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될 뻔한 경북 영양군에 활기를 불어넣은 것이다. 허 대표는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지원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를 겪게 됐다면 사업을 포기하고 신용불량자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고 결국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은 지난 2018년도부터 지역을 되살릴 청년을 위한 지원책으로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청년커플창업지원사업’ 등을 추진해왔다. 경상북도 23개 시·군에서 총 130개 팀을 선정하여 창업화자금 및 교육·컨설팅 등 전방위적 지원을 토대로 청년의 성장·자립·정착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경상북도경제진흥원 전창록 원장은 “김천시 솔찬히맛난자두, 영양군 ‘단듸’와 같은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며 지역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좋은 사례들이 앞으로도 계속 경상북도 곳곳에서 생겨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함께 이 위기사항을 타개해 갈 것이다.”고 밝혔다. ※ 보도기사 [영남일보]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00920010002772 [대구일보]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009200115 |